안성
페이지 정보

본문
화장실 관련 답변내용을 확인후 다시 올립니다.
물론 학교와 협의하에 변기를 결정하고 있는것은 이미 잘 아는 사안으로
답변으로서는 굳이 필요가 없는 내용입니다.
제가 분명 질문에도 이를 강조한바있습니다. 경기도 다른 교육청에 글 올리는곳마다
답변은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만족하고 성의있는 답변을 올려준곳도 많지만
그냥 단순하게 형식적이고 짤막한 답변을 그냥 올린곳도 더러 있더군요.
다음엔 타 교육청 답변중 모범이 되는 답변을 직접 퍼오겠습니다.
중요한것은 협의때 교육청이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며 학교측과 협의하되
단순히 학교측 요구를 무작정 100 % 수용할수만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측이 100 % 양변기를 요구해도 소수의견을 반영하고 소수의 화변기 선호
학생들을 반영해 100% 양변기는 불허하고 화변기 비율을 최소한 30-40 %를 마추어야하는것입니다.
물론 화변기 비율은 최소 30 에서 최대한 80 이상 까지선에서 정하되 가급적이면
교육청은 화변기 선호 의견을 좀더 적극적으로 전달할 의무가 있다고 봅니다.
화변기에 대한 선입견이나 불식을 덜어주는것도 학교나 교육청의 몫입니다.
그리고 제가 분명히 조선과 부산 기사를 언급했고 해당 기사를 협의때 활용하는게
좋다고 조언드린바 있습니다.
아울러 여학생과 고학년의 경우 사춘기연령과 신체 위생등을 더욱 감안하여야 할 나이이므로 고학년 여학생 여중생 화장실은 양변기가 아닌 화변기를 늘려야하며
이점을 조언하고 학교측에 전달하는게 교육청이 협의때 해야할 의무라고 봅니다.
양변기의 장점은 설명할 필요가 없는것입니다. 양변기 장점은 편리하다는 한가지 뿐이고
어린학생들은 그것을 알기에 교육청이나 학교가 해야할 일은 화변기의
편견을 없애주는것이고 위생적인 점을 강조 또한 위생 교육을 강화해야한다고 봅니다.
제가 이렇게 구체적으로 설명 지적 그것도 두번이나 설명드린 이상 이번에도
형식적인 짤막 간단한 답변으로 때우지말고 정말 확고하게 제 의견을 적극
반영 전달토록 해야할것입니다.
아울로 앞으로 학생들 위생에 관한 관심도 부분에서 교장의 자질을 거론
이점 인사 정책에 반영할것이며 따라서 양변기를 고집하는 교장은 앞으로
본인이 직접 인사과에 해당 교장이름을 거명해 문제를 제기할 생각입니다.
전 고양 성남 평택 가평 교육청 등을 칭찬합니다. 해당 교육청에 접속해
본인 비번()을 통해 답변을 확인해보기 바랍니다.
적어도 그런 교육청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조선일보 4월 25일자 기사 참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4/24/2009042401095.html#bbs
부산일보기사
(첨부 파일)
물론 학교와 협의하에 변기를 결정하고 있는것은 이미 잘 아는 사안으로
답변으로서는 굳이 필요가 없는 내용입니다.
제가 분명 질문에도 이를 강조한바있습니다. 경기도 다른 교육청에 글 올리는곳마다
답변은 차이가 있지만 대체로 만족하고 성의있는 답변을 올려준곳도 많지만
그냥 단순하게 형식적이고 짤막한 답변을 그냥 올린곳도 더러 있더군요.
다음엔 타 교육청 답변중 모범이 되는 답변을 직접 퍼오겠습니다.
중요한것은 협의때 교육청이 어떻게 하느냐가 중요하며 학교측과 협의하되
단순히 학교측 요구를 무작정 100 % 수용할수만은 없습니다.
예를 들어 학교측이 100 % 양변기를 요구해도 소수의견을 반영하고 소수의 화변기 선호
학생들을 반영해 100% 양변기는 불허하고 화변기 비율을 최소한 30-40 %를 마추어야하는것입니다.
물론 화변기 비율은 최소 30 에서 최대한 80 이상 까지선에서 정하되 가급적이면
교육청은 화변기 선호 의견을 좀더 적극적으로 전달할 의무가 있다고 봅니다.
화변기에 대한 선입견이나 불식을 덜어주는것도 학교나 교육청의 몫입니다.
그리고 제가 분명히 조선과 부산 기사를 언급했고 해당 기사를 협의때 활용하는게
좋다고 조언드린바 있습니다.
아울러 여학생과 고학년의 경우 사춘기연령과 신체 위생등을 더욱 감안하여야 할 나이이므로 고학년 여학생 여중생 화장실은 양변기가 아닌 화변기를 늘려야하며
이점을 조언하고 학교측에 전달하는게 교육청이 협의때 해야할 의무라고 봅니다.
양변기의 장점은 설명할 필요가 없는것입니다. 양변기 장점은 편리하다는 한가지 뿐이고
어린학생들은 그것을 알기에 교육청이나 학교가 해야할 일은 화변기의
편견을 없애주는것이고 위생적인 점을 강조 또한 위생 교육을 강화해야한다고 봅니다.
제가 이렇게 구체적으로 설명 지적 그것도 두번이나 설명드린 이상 이번에도
형식적인 짤막 간단한 답변으로 때우지말고 정말 확고하게 제 의견을 적극
반영 전달토록 해야할것입니다.
아울로 앞으로 학생들 위생에 관한 관심도 부분에서 교장의 자질을 거론
이점 인사 정책에 반영할것이며 따라서 양변기를 고집하는 교장은 앞으로
본인이 직접 인사과에 해당 교장이름을 거명해 문제를 제기할 생각입니다.
전 고양 성남 평택 가평 교육청 등을 칭찬합니다. 해당 교육청에 접속해
본인 비번()을 통해 답변을 확인해보기 바랍니다.
적어도 그런 교육청이 바람직하다고 봅니다.
조선일보 4월 25일자 기사 참고
http://news.chosun.com/site/data/html_dir/2009/04/24/2009042401095.html#bbs
부산일보기사
(첨부 파일)
- 이전글안산교육청내학교화장실 09.06.20
- 다음글중요. 09.04.11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