표지판외그림자료

깨끗하고 쾌적한 화장실 환경 문화 운동

고대의 배설문화( 우리나라 화장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관리자
댓글 0건 조회 1,073회 작성일 17-01-19 22:37

본문

고대의 배설문화

http://www.itoilet.co.kr/info/mun/tm.htm







인류학에서는 인간이 지구상에 나타난 시기를 지금으로부터 10만년 전의 '네안데프탈 인(Neanderthal-人)'부터라고 본다. 4만년 전에 시작된 최후의 빙하기(氷河期)는 약1만년 전에 끝났는데 이때 현재의 인류와 거의 흡사한 '호모 사피언스(Home sapience)'가 나타났다고 한다. 이와 같이 유구한 과거의 원인(原人)들도 살아 있는 한 무엇인가를 먹고 마시고 했음에 틀림이 없다. 그러나 인류의 역사가 기록으로 남아 전해진 것은 겨우 수 천 년밖에 안 된 과거에 불과하니 이들의 식생활과 배설에 관한 사실들을 자세히 알 길은 없다. 

인류문명의 발상지는 주류 기후가 좋은 하천 유역으로 티그리스 유프라테스강, 나일 강, 인더스 강 그리고 황화 유역 등이었다. 이들 4대 문명 발상지에서 고대의 조상들은 다른 동물과 마찬가지로 무엇인가를 먹고 마시며 산이나 강이나 바다에서 마음대로 배설 행위를 하면서 살았다. 


고대 변기의 유물 

인간의 배설 행위에 대한 최초의 기록이나 유물은 이미 기원전 3,000년대부터 1,400년대 사이에 나타나고 있다.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화장실은 인도의 모헨조다로 유적에서 발견된 것으로 지금의 수세식과는 분명히 차이가 있지만 물이 흘러 가도록 시설하여 그 위에 배설하게 했다는 점에서 오늘날의 것과 그 원리는 같다고 할 수 있다. 고대 수메르 문화의 중심지였던 메소포타미아 지방의 유프라테스 강 하류에 있던 바빌로니아의 유적지인 고도(古都) 우르 지방에서도 기원전 2,200년의 수세의자식 변기가 발굴되었다. 하수관을 통해 분뇨를 수세용수(水洗用水)와 함께 건조한 모래땅으로 스며들게 하는 방법을 써서 강이나 바다를 오염시키지 않고도 처리할 수 있게 했다. 또한 크레타 섬의 크넷소스 궁전-지중해 미노아 문화의 중심지-에도 기원전 1,700년에 이미 도기(陶器)로 된 변을 받는 접시형 틀과 나무로 만든 변좌가 갖춰진 수세식 변기가 발굴되었다니 놀라운 일이 아닐 수 없다. 


분뇨에 관한 문자의 기원 

고대중국 

중국 한자의 기원쯤 되는 원시 문자에 갑골문자라는 것이 있다. 이것은 자라의 껍질이나 동물의 뼈에 돌로 만들 칼을 이용하여 사물의 모양을 본딴 문자를 새긴 것을 말한다. 중국의 고대 국가인 은나라의 각지에서 발굴된 이 수만 편의 갑골문은 현재 약3천 자가 해독되었는데 현대의 한자와 유사한 점을 많이 발견할 수 있다. 

그중 인간의 배설물에 관한 분뇨의 글자는 갑골문에서는 사람[人]자에 소변을 하는 모양을 그린 것이 [尿]자로 나타내게 되었다고 한다. 

그 후 먹은 쌀이 변(異)해서 배설되었다는 뜻으로 [尿]자는 [糞]자로 변천되었다. 

따라서 이 [糞]자는 미곡(米穀) 즉, 곡식과 관계가 있으며 인류가 정착을 하고 농경 생활을 시작하던 시대 때 이미 사람들이 쌀을 주식으로 삼고 있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집트의 스카라베 

고대 이집트의 상징문자에 '스카라베'라는 것이 있다. 스카라베는 사막에 살면서 그 사막을 지니는 낙타나 사람의 똥을 먹고 사는 곤충을 말한다. 이 곤충은 사람의 똥을 먹고 사는 곤충을 말한다. 이 곤충은 사람이나 낙타의 똥이 떨어지면 여기저기서 모여들어 그것을 사막의 모래 위에 열심히 굴려 공 모양의 덩어리를 만들고 사막의 어느 구석에서나 그것을 먹고, 그 속에 알을 낳으며 살아간다. 고대이집트인들은 재미있게도 이 곤충을 '태양의 사자' 또는 '신성한 곤충'이라 생각했다. 그것은 스타라베가 분(糞)을 굴리고 다니며 태양과 비슷한 구체로 만들기 때문이었다. 

고대 이집트 인들은 이 스카라베 모양을 고대 왕의 묘나 비석에 새겨 넣었다. 오늘날까지도 이집트 여자들은 반지나 브로치에 이 문양을 새겨서 몸에 지니고 다닌다. 

3.고대의 분뇨 처리 

수렵을 하던 시대, 인간의 배설 행위는 장소와 시간에 전혀 구애받지 않았다. 넓은 대지에서 바람에 실려오는 풀내를 맡으며 방분(放糞), 방뇨(放尿)의 짜릿한 희열을 그저 즐기기만 하면 되었던 것이다. 이렇게 해서 만들어진 인간의 배설물은 땅에 스며들거나 비에 씻겨 흐르거나 태양열에 의하여 증발되었다. 어떤 때는 야생 동물이나 가축의 먹이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농경, 목축의 시대로 시간이 흘러감에 따라 인구가 늘어나고 주거가 고정되면서 집단 촌락이 형성되기 시작했다. 자연히 배설물도 늘어나게 되어 자연의 처리에만 맡길 수 없게 되었고 사람들은 배설물을 건조시켜 연료로 사용하거나 밭에 묻어 거름으로 썼다. 해변이나 강병에서는 배설물을 물에 씻어 보냈으며 목축민들은 가축에게 처리를 맡기기도 했다. 시간이 지나갈수록 사람들은 지상의 주거 또는 나무 위에 이러한 배설물의 처리를 위한 장소 설치의 필요성을 절박하게 느끼기 시작했다. 


농경 생활과 분뇨의 이용 

수렵이나 어로 생활에서 농경 생활로 이행해 가던 무렵 사람들은 원래는 비옥했던 토지가 연작을 해감에 따라 지력의 감소로 농작물의 수확이 적어진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이에 사람들은 현명하게도 분뇨를 농경에 이용하기 시작했다. 강물에 흘려보내거다 땅에 묻어 그냥 버리던 더러운 분뇨를 논, 밭에 비료로 사용하게 된 것이다. 이 분양법은 중국에서는 이미 은나라 시대에 실시되었다. 은나라 시대의 문자인 갑골문 중에 '분서군전(糞西軍田)'이라는 지방의 밭에 똥을 뿌렸다는 뜻으로 당시의 사람들이 이미 분뇨를 농사에 이용하고 있었다는 것을 알려준다. 

인도의 화루라파트의 주민들은 옥수수와 감자 재배에 분뇨를 사용해서 그렇게 하지 않는 사람들보다 세 배 이상되는 수확을 올렸다. 17세기 페르시아에서는 가축의 대소변을 농작에 이용했다. 멕시코와 페루에서는 비료로 사용되는 대소변을 일컬어 '옥수수의 어머니'라고 불렀다. 그들은 사람의 배설물을 비료로 대지에 환원시키는 것만이 최선의 방법이며, 성스러운 일이라고 생각했다. 

고대 이집트와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 상류의 유목민들도 밭에 가축의 분을 뿌리는 것이 그러지 않는 것보다 농사에 유리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그러나 이들은 인간의 분뇨만은 아주 더러운 것으로 여겨서 농사에 이용하지 않았다. 그러나 그들이 인분을 농사에 이용하지 않았던 진짜 이유는 그것이 단지 더럽거나, 혐오스러운 것이기 때문이 아니라 두 문화권 주변의 나일강과 티그리스. 유프라테스 강의 정기적인 범람 때문에 언제나 비옥한 토지에서 농사를 지을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로마제국 

로마제국은 잘 정리된 상.하수도 시설을 가지고 있었다. 로마제국의 시민들은 현대인들처럼 분뇨를 하수도에 버렸다. 따라서 당시 고대 로마제국의 지배하에 있었던 유럽의 여러 나라들은 모두 분뇨를 하수도에 흘려 보냈다. 지금와서 생각하기에도 그것은 아주 발전된 분뇨 처리 방법인 것 같지만, 결국 로마제국은 멸망했고 그 후 대부분의 유럽 사람들은 근대에 이르기까지 분뇨를 물에 씻어 보내는 방법을 그다지 즐겨하지 않았다. 프랑스의 시인 빅토르 위고(1804~1885)는 "로마에 하수도가 생기면서 전원을 병들고 피폐해졌다. 그 결과 로마는 이태리의 하수도 속에 침천했다"고 말했다. 고대 로마 시대에는 멀리 떨어진 상수원-샘이나 계곡물-에 13개의 상수도를 설치했다. 이 수도의 깨끗한 물은 공공의 급수장은 물론 11개소의 공중 목욕장, 1,300개소 이상의 공공 분수대와 150개소의 수세식 공중 변소에 이용되었다. 로마 시대의 변소는 요즘 같은 인공 수세식이 아니고 자연 수세직이었다. 즉 변기의 아래에 항상 물이 흐르도록 하여 오물을 씻어 내리는 방식이었던 것이다. 여기에서 흘러 나오는 오수는 대하수도로 흘러들게 되어 있었다. 공중 변소는 칸막이가 없고 여러 개의 변좌가 이어져 있어 사람들은 그 곳에 느긋하게 앉아 서로 이야기를 나누며 즐거운 시간을 보냈다고 한다. 그러나 로마제국의 사람들이 그러고 있는 동안 제국 로마의 자연은 점차 그들의 오물로 황폐해지고 있었다. 


동양의 정전법 

농업용 비료에는 분뇨 이외에도 풀을 썩힌 초비, 나무나 풀을 태워 재로 만든 회비, 풀을 베어다 덮는 녹비, 분뇨를 짚 또는 풀과 모래를 섞어 발효시킨 퇴비등이 있다. 

옛날에는 인구에 비해 유휴 농경지가 많았으므로 동양에서는 소위 정전법이라는 것이 실시되었다. 정전법이란 밭을 [田]자 모양으로 4등분하거나 [井]자 모양으로 9등분하여, 해마다 그 구역을 차례로 돌아가며 곡식을 재배하는 방법을 말한다. 따라서 전법(田法)이라면 4년에 한 번씩, 정법(井法)이라면 9년에 한 번씩 윤작하는 셈이 된다. 이는 연작으로 인한 지력의 감소를 방지하고자 하는 방법이었다. 

사람이나 가축의 분(糞)을 농경에 이용한 것은 벌써 그 이전의 일이었으므로 이와 같은 정전법은 사람이나 가축의 분을 밭에 뿌리는 이전의 방법이 연작으로 인한 지력의 감소를 막는 데 만족할 만한 방법이 되지 못했음을 뜻하는 것으로 볼 수도 있다. 중국의 은나라 시대부터 실시되어 온 것으로 여겨지는 정전법은 그 후 기자조선을 통해 한반도에 전해졌다고 하며, 한국의 경주에는 정전의 유지가 남아 있다. 그러나 기자 동래설을 부인하는 사학자들은 이를 진한의 유제라고 하여 상반된 견해를 제시하기도 한다. 


4.분석 

앞서 말한 바와 같이, 문자에 의해 알 수 있는 과거의 사실들은 시간적으로 보아 인류 역사 전체에 있어 20분의 1도 채 되지 않는다. 인류사 속에서 문자가 발명된 이후 줄곧 쓰여진 수많은 사서들 중 그 어떤 것도 인류의 상고사를 연구하는 데 아무런 도움도 주지 못한다. 이 부분에 있어서 태고의 비밀을 가르쳐 주는 거의 유일한 단서는 화석뿐이라고 할 수 있다. 과거 지구의 주인은 공룡이라는 거대한 파충류의 무리였으며, 지각의 변화는 어떠했고, 인류가 어떤 시행착오의 과정을 거치면서 문화를 발전시켜 왔는지 등에 대한 사실을 상식화시킬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자연발생적 타임캡슐이라고 불리우는 화석의 공로 였다. 

지구상의 모든 과거는 화석이 될 수 있다. 화석이 되지 않는 것이란 아무 것도 없다. 벌레와 꽃, 새와 짐승, 지구상에 존재하는 모든 것들은 화석이라는 형태로 자신의 자취를 남긴다. 시베리아의 얼음 속에서 맘모스의 화석이 나오고 호막 속에서 공룡의 피를 빨아먹던 모기의 화석이 나오는 것처럼 어디엔가 인간의 화석이 남아 있는 것은 아닐까. 사람의 화석을 발굴해 낸다는 것, 그것은 오랫동안 여러 고곡학자들의 숙원이 이었다. 그러나 어디서고 인간의 화석이란 좀체로 발견되지 않았다. 적어도 1961년까지는 그랬다. 


화석 

1961년 7월 이스라엘의 아무르 동굴에서 20만년에서 10만년 전쯤에 살았던 것으로 추정되는 네안데르탈 인의 화석이 도쿄대학의 고조사단에 의해 의해 발굴되었다. 이때까지 고대 인류의 완전한 뼈 화석이 발견된 것은 처음 있는 일이었다. 고고학자들은 흥분했고 이로써 선사시대 인류에 대해 많은 부분을 알게 되었다. 그러나 고고학자들은 네안데르탈 인의 화석은 고대 인류의 생물학 .해부학적인 특성에 대해서는 많은 것을 알려주었지만 인간의 문화-이르테면 무엇을 먹었으며, 대개의 건강상태는 어땠고, 어느 정도의 문명 생활을 하였는가를 연구하는 데에는 그다지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사실을 깨달았다. 그들은 오히려 인류의 조상이 배설한 지저분한 분(糞)이 오랜 세월을 거치면서 화석으로 변한 이른바 분석이라는 것이 고대 인류 문화에 대해 많은 것을 말해 주고 있다는 것을 알아차리기 시작했다. 


분석의 발견 

분석이란 인간을 포함한 동물의 분(糞)의 화석을 말한다. 학자들이 분석에 주목하게 된 것은 19세기 후반부터 이것에 대한 연구는 비교적 새로운 것에 속한다. 

분석 연구의 시초는 1875년 미국의 와이면이 프로리다 주의 세인트 존스강의 담수계 패총에서 많은 어골이 포함된 분석을 발견한 것에서부터 시작된다. 와이먼은 이화석을 깨뜨려 많은 어골을 찾아냈고 그것에 대해 기록했다. 그 후 1896년에 하쉬벨거가 선사시대의 민족적 식물사에 원점을 탐구하면서 분석을 다루었고, 1910년에 영이라는 사람은 켄터키 주의 어느 동굴에서 식물의 종자가 포함된 분석을 발견하였다. 영은 분석 속에 포함된 종자들을 채취하여 감정하였지만 이것은 사람의 것이 아니라 선사시대에 살았던 어떤 동물의 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동물의 화석보다 사람의 화석이 훨씬 늦게 발견된 것처럼 분석 역시 사람의 것은 그 모습을 좀처럼 나타내지 않았다. 1961년 미국 시카고 대학의 인류학자 브레이도우트 박사, 하버드 대학의 동물학자 리이트 박사 등이 이란의 더크로스 산맥 지대의 아시어브라고 하는 1만년 전의 흙무더기 속에서 분화석(糞化石)-코프롤라이트를 발견했다. 이것은 여러 가지 측면에서 인간의 분석임이 확실해 보였고 이 화석의 성분을 분석함으로서 그들은 그 무렵의 인간들이 무엇을 먹고 지냈는지 알게 되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